가시연꽃이 활짝 피어 화제가 된 양산 유수지공원, 보라빛 물결 가득한 밀양 삼문 송림 맥문동, 마을을 감싸 안은 듯 내려다보이는 곳에 자리잡고 있는 구미 문수사 & 절벽 암벽에 기댄 반쪽짜리 절 사자암을 둘러보고 구미 옥성 자연휴양림에서 1박을 하고
2일 여행은
구미 옥성 자연휴양림에서나와 임진왜란 때는 의승군이 결집하여 호국법회를 열었던 호국사찰구미 수다사 & 연악산 산림욕장 산책, 연꽃 만발한 지산 샛강 생태공원 황토로 조성된 둘레길 걷기, 채미정 & 솔숲 맥문동을 만나는 여름꽃 여행길로
편안히 하루를 휴식한 옥성자연휴양림을 떠나 여행 2일째 첫 여행지로 임진왜란 때는 의승군이 결집하여 호국법회를 열었던 호국사찰 구미 수다사 & 연악산 산림욕장 산책을 위해 길을 달려간다....
수다사가 위치하고 있는 무을면 상송리 연악산(淵岳山)은 태백산의 지맥으로 멀리 속리산(俗離山), 가까이 북으로 상주 갑장산(甲長山)을 접하여 영봉으로 솟아 있으니 별명은 수정산, 천마산, 연악산이라 일러온다. ‘연악산 수다사’ 일주문 편액은 취은(翠隱)의 글씨이다.
수다사 일주문을 들어서고
반야교를 건너면
넉넉한 포대화상이 있는 수다사 주차장 도착이다.
수다사 경내 입구 초입 주차장에는 포대화상이 고즈넉한 산사를 찾는 이들에게 가장 먼저 반기게 인사한다.
수다사는 경상북도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12번지 연악산(淵岳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의 말사다.
연악산(淵岳山) 수다사(水多寺)는 신라 흥덕왕 5년(830) 통일신라시대에 하동 쌍계사를 중창한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 스님 에 의하여 창건한 사찰로 도리사와 더불어 선산 지역의 오래된 절 가운데 하나다. 그 후 고려 경종 원년(976) 화재로 인하여 건물이 다소 소실되고 극락전과 청천료만 남았다. 다시 명종 15년(1185) 각원대사(覺圓大師)에 의하여 대대적인 불사가 이룩되었다. 그 후 원종 14년(1273) 대수해로 인하여 대부분의 전각이 유실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임진왜란 때는 의승군이 결집하여 호국법회를 열었던 호국사찰로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중건하여 절의 이름을 수다사(水多寺)라 하였다.
수다사 경내로 들어가는 계단이다. 계단 좌우에 은행나무가 우뚝서 있어 사찬왕을 대신하여 수다사를 지키는 수문장 같은 느낌이다...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 연악산 자락에 조용하게 자리 잡고 있는 수다사는 경내에 들어서자 무수한 세월의 연륜을 이겨온 수다사의 명물 은행나무 4그루가 이곳을 찾는 나그네들에게 행복을 주고 있다.
겨울만 빼놓고는 나머지 계절이 너무 아름답다.
가을이면 절 입구에 서 있는 꽤 오랜 세월을 지내왔을 은행나무 네그루에서 떨어지는 은행잎은 상상을 못할 만큼 아름다울 것 같다. 가을에 은행잎이 단풍들 때를 상상해 본다....
깊어가는 가을의 멋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 구미 수다사는 온 경내가 노란 은행잎이 융단처럼 온 경내를 채색하여 만추의 행복을 전할 것이다....
수다사 절집 마당에 도착했다. 숨겨진 예쁜 절집을 찾아낸 것 같아 마냥 기분이 좋아진다... 배룡나무 옆에 현 주지스님의 시비가 서 있어 반가이 바라본다...
화려하면서도 아름다운 300살 먹은 보호수 배룡나무와 그 옆으로 극락교가 있다...
수다사 대웅전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334호)
대웅전(大雄殿)은 팔작지붕에 앞면과 옆면 각 3칸 규모의 건물로 겹처마 다포 형식이다.
임진왜란 직전인 1572년(선조 5)에 지은 건물로, 비록 일부 부재는 최근에 교체하였지만 전체적으로 창건 당시의 건축 구조와 기법을 잘 간직하고 있어서 중요한 건축문화재가 되어 있다. 전각 안팎에 가지가지 벽화가 장엄되어 있어 건물의 아름다움을 더욱 높이고 있다.
법당 정면 어간문 양쪽 주두 위에는 용두대신 연화가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334호)
대웅전 안에는 1649년(인조 27)에 만든 목조 아미타여래좌상을 독존으로 모셨는데, 나발이 있고 원만한 상호(相好)가 돋보이며, 수인(手印)은 구품인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되고 깔끔한 조각이 돋보인다.
목조 아미타여래좌상은 조형 면에서 약간 앞으로 구부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은 무릎과 넓은 무릎폭 등에서 조선 후기 목조불상의 뚜렷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원각사 대세지보살상의 복장유물 가운데 포함된 조성기에 순치 6년이라는 조성시기가 기록되어 있고, 조성기의 종이질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조성시기가 17세기 무렵이라는 점이 확인된다. 이 불상은 미술사적 측면에서 조선 후기 불상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원래는 삼존상이었으나 양 협시는 외부로 반출되어 대세지보살상은 구미 원각사(圓覺寺) 원통전에 봉안되고 있고, 관세음보살상은 대구 서봉사에 옮겨 봉안되었다고 하는데..... 둘 다 이운된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이 아미타여래좌상(阿彌陀如來坐像)의 복장 유물은 도난 당하였지만, 다행히 구미 원각사(圓覺寺) 대세지보살상의 복장유물에서 불상 조성기가 확인되어 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연대와 유래를 파악하는데 기본 자료가 되고 있는 기록에 의하면 순치(順治) 6년 9월에 일선부의 서쪽에 위치한 연악산(淵岳山) 수다사(水多寺)에서 아미타불과 두 협시보살의 삼존상을 조성했다고 조성시기가 기록되어 있고,조성기의 종이질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조성시기가17세기 무렵이라는 점이 확인된다. 이 불상은 미술사적 측면에서 조선 후기 불상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木造阿彌陀如來坐像)은 근래의 개금불사로 인하여 외형상 목조의 느낌이 거의 들지 않을 정도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소나무의 결이 보인다. 나발의 두정(頭頂)에 약간의 육계의 흔적이 보이고, 가늘게 뜬 눈, 코, 입술 등의 조각 수법이 정제되어 있으며, 원만한 상호와 짧은 양 귀, 목에 둘러진 삼도가 조화를 이루어 위엄이 있어 보인다. 법의는 통견으로 의무늬 조각이 세련되었으며, 무릎 부분이 높고 넓어 안정감을 주고 있다.
수다사 대웅전 내부에는 장엄한 수다사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4호)과 수다사 영산회상도 (보물 제1638호)인데 원본은 현재 김천 직지사의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수다사에는 현재 모사본이 걸려 있다.
8세기 불화를 잘 나타낸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보물 제1638호)
현재 김천 직지사의 성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원본이다.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龜尾 水多寺 靈山會上圖) 는 1731년에 조성된 것으로 도익(道益) 등 4명의 화승이 제작한 석가모니후불도이다.
8보살과 범천, 제석천, 10대 제자, 사천왕, 8금강 일부, 타방불 등이 본존인 석가모니를 둘러싸고 시립하였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권속들이 작게 묘사되어 자연스럽게 본존에게로 보는 이의 시선을 유도하고 있다. 불, 보살의 원만한 상호와 녹색과 적색을 주조로 한 차분한 색조, 천의와 법의를 가득 메운 화려한 문양, 균형 잡힌 안정된 신체표현, 유려하면서도 세밀한 필치 등 18세기 전반기 불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여러 용들이 조각된 본존불의 대좌
여래좌상이 앉아 있는 대좌 역시 나무로 만든 것인데, 팔각연화대좌를 기본으로 하였다. 대좌의 일부가 최근에 보수되기는 했지만 세부 처리가 매우 뛰어난 조선시대 대좌 가운데서도 우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동종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35)
종신 정상부에는 쌍룡이 입에 한 개씩의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두용이 교차되는 정상에는 큼직한 여의보주가 있는데 용통은 없으나 상면 중앙부에 지름 1㎝의 원공이 관통되어 있어 용통을 대신하고 있다. 이 용뉴(龍鈕)는 용린(龍鱗)이 사실적이고, 양발과 양눈, 코, 이빨 등이 웅건하다. 건륭(乾隆) 37년(1762년)이란 명문(銘文)이 있어 조성연대를 확실히 알 수가 있다.
4구의 보살입상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선 중기에 조성된 범종이 많이 있지만, 이 수다사 동종은 형태, 크기, 문양에 있어서 조선시대 범종 가운데 우수작에 속하고 조선시대 후기 사찰 동종의 단아함이 잘 묻어나 있다.
향 대웅전수다사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좌측 벽면에는 근래에 조성한 신중탱이 있다...
대웅전 안에 봉안된 삼장보살도
지장신앙이 한층 확대되어 나타난 것이 삼장보살도이다. 삼장보살은 천장보살. 지지보살. 지장보살을 말하며 천장보살을 중심으로 좌우로 지지보살과 지장보살이다. 천장보살의 협시는 진주와 대진주보살, 지지보살의 협시는 용수와 다라니보살, 지장은 본래의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