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밀양 표충사 배룡나무꽃을 만나러
    사찰여행/경상도 2024. 8. 2. 13:03

    밀양  표충사 배룡나무꽃을 만나러

     

    2024.   8.    2. 

     

     

    2024.  8.   1.   좋은 사람들과 함께한  경주 대형 브런치 카페  로드 100 해바라기꽃 ,  하동저수지 옆에 자리한 한옥카페 바실라 카페 부근의  해바라기꽃,  부산  화명생태공원 목수국꽃 그리고  밀양 표충사의 배룡나무 꽃을 만나는 여름꽃  여행길로  

    오늘  세번째 여행지   화명생태공원의 부용화 구경부터 가는 길이 어렵지 않아서 금방 찾을 수 있는 목수국까지 구경하고 산책하며 힐링하는 하루를 보내고  오늘 마지막 여행지  밀양 표충사 배룡나무꽃을 만나러 간다....

     

     

     

     

     

     

    오랜만에 와본 표충사가 좀 바뀌었네  이런것도 있고...  수충루 입구의 조형물에서

     

     

     

     

    가람 수호를 기원하는 外伽籃閣이다.  

    죽은 자의 혼을 실은 영가가 경내로 들어 가기전에 잠깐 모셔지는 곳이다.  이 곳에서 영가는 속세의 떼를 벗는 목욕을 한다고 한다.  이러한 용도의 건물은 다른 절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독특한 종교적 건물이다.

    순천 송광사에 있는 洗月閣 (달을 씻는다는 뜻으로 여자 영가를 위한 것임),  滌珠閣(구슬을 씻는다는 뜻으로 남자 영가를 위한 것임)과 같은 용도의 건물이다.

     

     

     

     

    표충사 현판을 단 수충루

    표충사라는 현판이 걸려있는 누각은 수충루(酬忠樓) 라는 이름의 누각이다.   그런데, 상당히 특이한 이다.   보통의 사찰에서는 찾아보기 드문 형태를 띄고 있다.

    이 이유를 찾아보니, 서명대사의 위패와 서산대사, 기허대사의 위패를 모신 표충서원이 바로 이곳 표충사 내에 있기 때문에, 정문을 일반 서원처럼 정문에 3문 누각을 세웠던 것이다.

     

     

     

     

     

     

     

    표충사 경내도

     

     

     

     

    서기654년 신라 진덕여왕 8년 원효대사께서 창건하여 이름을 죽림사라 하였다.  조선 현종때(1839) 월파 천유화상이 임진왜란을 맞아 승병을 일으켜 큰 공훈을 세운 서산,  사명,  기허 3대  선사를 모신 표충사(表忠詞)를 이곳으로 이건(移建)하면서 절 이름도 영정사(靈井寺)에서 표충사(表忠寺)로 바뀌었다.

     

     

     

     

    밀양 표충사는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을 일으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명대사(四溟大師)의 충훈(忠勳)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표충사당(表忠祠堂)이 있는 절이다.

     

    원래 이곳에는 원효(元曉)가 창건한 죽림사(竹林寺)를 신라 흥덕왕 때 황면(黃面)이 재건하여 영정사(靈井寺)로 개칭한 절이 있었다.   표충사라는 이름은 사명대사를 제향하는 사당을 당시 서원(書院)의 격(格)으로 표충서원(表忠書院)이라 편액하고 일반적으로 표충사로 불렀는데, 이 사당을 사찰에서 수호(守護)하여 왔으므로 사(祠)가 사(寺)로 바꾸어진 것이다.

     

     

     

     

     

     

     

    원래의 표충사(表忠祠)는 밀양시 영축산에 있던 백하암(白霞庵) 자리에 있었으며, 사명대사의 제사를 모시기 위하여 나라에서 사원(祠院)을 세우고 봄· 가을로 제사를 지냈다.   그 뒤 병자호란이 일어나 승려들이 흩어지고 폐허가 되었던 것을 1714년(숙종 40)에 밀양 군수 김창석(金昌錫)이 사명대사의 충훈을 알고 퇴폐된 것을 민망스럽게 여겨 지방유지와 승려를 불러 사우를 다시 세울 것을 의논하였다.

    그 뒤 남붕(南鵬)이 크게 중창하고자 1738년(영조 14)에 사명대사의 행적(行蹟)을 갖추어 임금에게 올리니, 임금이 교지를 내려 표충사의 잡역(雜役)을 면제하고, 전답(田畓) 5결(結)을 내리고 경상도 관찰사에게 중수하도록 명하였다.   이때 남붕이 총책임을 맡고, 연초(演初)·  취안(翠眼)·  최심(最心)·  상현(尙玄) 등이 도왔다.    사우를 3칸으로 하고 단청을 하였으며, 사명대사의 영정을 중앙에 모시고 동쪽에 서산대사,   서쪽에 기허당을 각각 모셨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인 대광전,  팔상전,  명부전,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2호인 만일루,  표충서원 등이 있다.   또한 국보 제75호인 청동함은향완(靑銅含銀香垸)은 1177년 (명종 7) 에 제작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고려시대 향로이다.  이 밖에도 보물 제467호인 표충사 삼층석탑,   중요민속자료 제29호인 사명대사의 금란가사(錦襴袈裟)와 장삼(長衫),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호인 표충사 석등,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인 표충사비 등이 있다.   절 일원이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로 지정되어 있다.

     

     

     

     

     

     

     

    표충사 현판을 단 수충루를 들어서면   호국박물관. 사천왕문. 템플스테이관이 바로 보인다.

     

     

     

     

    수충루를 들어서 마당 왼쪽으로 표충서원.  표충사당.   호국박물관이 차례로 보인다.

     

    표충사와 표충서원

    수충루 정문을 들어가서, 바로 왼쪽에 보이는 건물이 바로 서명대사의 위패와 서산대사, 기허대사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표충서원(表忠書院)과 표충사(表忠祠)가 있다.

     

    여기서 한가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서원(書院)이라 함은, 유교문화를 바탕으로 한 공간인데,  어떻게 불교문화와 같은 공간에 있을까 ?     이것은  사명대사의 위패를 모시는 유교적 서원인 표충사(表忠祠)를 수호하기 위해서 본래 영정사(靈井寺)인데,  표충사(表忠寺)로 개명한 사찰이다.  

    즉,   일주문과 통과한 후,   만나는 수충루를 포함한 표충사(表忠祠)는 유교적 공간이고,    사천왕문을 넘어서면 불교문화의 공간이 되는 것이다. 

     

    이곳 표충사(表忠祠)와 표충사(表忠寺)는 불교와 유교가 통합된 한국사찰의 독특하고 유연성을 보여 주고 있다.

     

     

     

     

    '표충사(表忠祠)'뒤로 펼쳐지는 영남의 최고봉인 재약산 사자평원이 햇살에  찬란하다 말할 정도로 눈 부시게 아름다운 모습이다.

     

    표충사(表忠祠)

    사명대사의 고향인 밀양시 무안면에 세워졌던 것을 1839년에 이건하면서 대광전 옆 지금의 팔상전이 있는 곳에 위치해 표충서원이란 이름으로 있었으나 이후 1971년 팔상전과 자리를 바꾸었으며, 최근에 가람을 정비하면서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어 표충사라고 편액하였다.

    표충사에는 서산대사, 사명대사, 기허대사의 진영을 봉안하고 매년 음력 3월과  9월 초 정일(初丁日)에 제향을 올리고 있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8호 표충사 영정및 탱화

     

     

     

     

    표충사원(表忠書院)

    1744년(영조 20) 왕명으로 임진왜란 때 구국· 구민하신 3대 성사를 모시고 매년 춘추로 제향을 올리게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고종 8년(1871년)에는 대원군에 의해 전국서원철폐령이 내려졌으나 표충서원은 훼철을 면했다고 하며 표충사가 불교와 유교가 통합된 한국사찰의 유연성을 보여 주고 있는 대표적인 예가 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서 구국의 큰 공을 세운 휴정 (休靜 : 西山大師)·  유정 (惟政 : 四溟大師)·  기허당 (騎虛堂)  3대사의 충렬을 기리기 위하여 사당(祠堂)으로 설립하고 선조로부터 표충서원(表忠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았다고 한다.   서원 내에는 3대사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1972년   2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2호로 지정되었다.

     

     

     

     

    수충루를 들어서 마당 오른쪽으로  설법전이 있는데  커다란 전각에는 의중당,   설법전,   대흥불법도량이란 현판이 3개 걸려  있다.

     

     

     

     

    기념품관 사자평 다원과 수충루

     

     

     

     

    기념품관 사자평 다원으로  기념품점 .  차방

     

     

     

     

    너무 더운 날씨라 숨이 막힌다.   시원한 다원에서   쉬어 가기로 ~

     

     

     

     

    이곳에서 시원한 커피랑 아이스크림도  먹으며  쉬어간다.

     

     

     

     

     

     

     

     

     

     

     

     

     

    사천왕문(四天王門)은 표충사의 사당(祠堂) 영역과 사원(寺院)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원래는 대광전 맞은편 우화루 앞쪽에 사천왕문이 있었으나 최근 사당영역을 새롭게 조성하고 절의 진입로를 옮기면서 지금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표충사은 특색있는 사찰로,  보통은 출입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 수호신들에 의해서 도량 내의 모든 악귀가 물러난 청정도량이라는 신성관념을 가지게 하려는 데도 뜻이 있겠지만,  여기서는 또 다른 의미도 있다.   유교문화와 불교문화를 구분하기 위한 뜻도 같이 존재하고 있는 곳이다.

     

     

     

     

     

     

     

     

     

     

    스님 수행공간 원통당,  마당을 가운데 두고 여러 전각들이 빙둘러 자리잡고 있다.

     

     

     

     

     충예당과 만일루

     

     

     

     

    충예당과 만일루. 영각이  차례로....

     

     

     

     

     영각. 응진전. 명부전.  삼층석탑.  종무소가 차례로...

     

     

     

     

    표충사 삼층석탑  ( 보물 제467호)

    사천왕문을 통과하면 사원영역으로 시원한 풍경과 함께 표충사 삼층석탑을 만나게 된다.

      1839년(헌종 5)에 밀양군 무안면에 있었던 표충사(表忠祠)를 영정사로 옮기면서 절 이름도 표충사(表忠寺)로 개칭하였고  가람배치도 큰 이동이 있었던 것이니 이 탑도 그 때에 옮겨진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고 한다.

     

     

     

     

     

     

     

    기단(基壇)은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으며, 각 면을 둘로 나누어 놓았고, 탑신부(塔身部)는 층마다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돌로 되어 있다. 1층 몸돌은 기단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형태로, 균형면에서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고, 표면 모서리에는 매우 넓은 기둥이 새겨져 있고 다른 장식은 없다.

     2층 몸돌은 1층에 비하여 높이가 급격히 줄었으며 3층도 체감되어 있으며, 2·3층의 몸돌 모서리에도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으나 너비는 전체가 축소됨에 따라 좁아졌다.지붕돌은 밑에 4단의 받침이 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었으며, 지붕은 아름다운 곡선으로 흘러내리다가 네 귀퉁이에서 경쾌하게 치켜올려져 있다.

     꼭대기에는 탑의 머리장식이 얹혀져 있으나 정돈되지는 못하고, 그 위에 1m 가량의 끝이 뾰족한 쇠막대를 세웠다.

    탑신부 1층의 몸돌이 지나치게 커다란 단점이 있으나, 기단이 1단으로 구성된 신라석탑양식을 따른 아담한 탑이고, 탑의 머리장식도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탑주변의  예쁜 등과 소원지

     

     

     

     

     

     

     

    석등과 석탑

    언듯봐도 유구한 세월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3층석탑과 석등, 오랜시간 우리나라의 희로애락을 같이 했지만, 참 잘 보존되어 있는 것 같다.

     

     

     

     

    충사 석등 (경남유형문화재 제14호)

    삼층석탑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으로 조각의 특징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기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종무소

     

     

     

     

     만일루 (경남문화재자료 제142호)

    조선시대인 1860년(철종 11)에 월암선사가 혜원법사의 유풍을 떨치고자 만일(萬日)의 기도 끝에 이룩한 건물이라 한다.    1926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929년 중건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992년에 보수된 것이다.

    H자형으로 된 독특한 구조의 건축물로서 108번뇌를 상징하는 108평의 부지에 불교의 48원(願)을 상징하는 48칸의 선실로 지어졌다.  이 건물은 무량수각 또는 서래각(西來閣)으로 편액되어 선방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이곳은 대한불교조계종 통합종단의 초대 종정을 지낸 효봉대종사가 말년을 보내다가 1963년 열반한 곳이기도 하다.

     

     

     

     

    1860년(철종11) 월암선사가 아미타불의 48원을 상징하는 48칸과 108번뇌를 상징하는108평의 전각을 세워 아미타불을 봉안하고, 무량수각 또는 서래각이라고 하였다.

    서래각, 무량수각의 편액은 추사 김정희의 수제자인 위당 신관호의 글씨이다.

     

     

     

     

    영각과  칠성전

     

     

     

     

     영각 (경남 유형문화재 268호)

    표충사에 봉안되어 있는 사명대사,   서산대사,   기허대사의 영정과 표충사를 빛낸 역대 조사스님들,   중창주들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으며 일반인들에게는 개방되지 않고 있는 곳이다.

     

     

     

     

    칠성전

    사업성취 발원 산왕대신,   수명장원 발원 칠원성군,   결혼인연.학업성취 발원 나반존자

     

     

     

     

    영정약수 주변의 배룡나무에는 꽃이 만발했다.

     

     

     

     

    영정약수

    신라 흥덕왕 4년에 왕의 셋째 왕자가 나병에 걸려 명의 명약을 찾던 중 황발선인의 소문을 듣고 이곳을 찾아와 병을 치유했다고 한다.
    이에 흥덕왕이 친히 선사를 찾아와 크게 칭송하나 황발선인이 말하기를 이곳의 산초와 유수가 모두 약초요 약수라 하였다.
    흥덕왕은 그 말에 감탄하여 탑을 세우고 가람을 부흥시키고 산 이름을 재약산이라 하고 사명 또한 영정약수의 이름 따서 영정사라 하였다.
    지금도 이 영정약수를 찾는 발길이 하루도 끊이지 않고 있다.

     

     

     

     

     

     

     

    표충사에서 여름꽃 배룡나무 꽃을 원없이 본다.

     

     

     

     

     

     

     

     

     

     

     

     

     

     

     

     

    팔산전. 대광전. 관음전. 명부전이 차례로...

     

     

     

     

    대광전.  관음전.  명부전.  우화루

     

     

     

     

    표충사 범종루로 조석예불에 사용되는 四物로 범종,  북,  목어,  운판이 있다.

     

     

     

     

    우화루

    대광전 맞은편, 범종루 옆에 있다.

    대광전을 바라보며 마주하여 자리잡은 우화루는 정면 7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원래 중심법당인 대광전으로 들어서는 중문으로 최근까지 우화루 앞으로 진입로가 있었으나, 근래에 가람을 정비하면서 진입로가 바뀌었다.

    우화(雨花),  꽃비는 묘법연화경에 나온다.   "석가모니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더없이 높고 반듯한 깨달음)'을 얻으리라 하니  범천왕이 하늘에서 내린 연꽃이 수북히 쌓인 가운데 다시 향기로운 바람을 불어 시든 꽃은 날리고 다시 새로운 꽃을 내려보냈다"...  는 데서 따와서 지은 이름 "우화루"다.

     

     

     

     

    팔상전은 대광전 왼쪽에 있는 전각으로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그린 팔상탱화를 봉안한 법당으로 석가모니불과 탱화를 볼 수 있다 .

     

     

     

     

     팔상전과 대광전

     

     

     

     

    팔상전(八相殿, 경남 문화재자료 제141호)

    팔상전(八相殿))은 1854년(철종 5년)에 당시 주지였던 환월선사(幻月禪師)가 창건하였으며, 1926년 화재로 소실되어 1929년에 중창한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건물의 상태로 봐서는 정말 오래되어 보이는 건물이다.

     

    대광전과 나란히 서있으며 1854년(철종 5년)에 창건하였으나 1926년 화재로 소실되어 1929년에 중창한 것이라고 한다.  원래 위치는 현재 종무소가 있는 자리이고 지금의 위치에는 표충서원이 있었으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일부 승려들이 사찰 내에 유교식 서원의 존재가 불가할 뿐 아니라 대광전과 나란히 사당을 둔다는 것은 불경하다는 지적이 있어 1971년에 자리를 맞바꾸었다고 한다.

     

    내부에는 소조석가여래좌상만이 봉안되어 있다.

     

     

     

     

    대광전(경남지방유형문화재 제267호)

    대광전은 표충사 경내에 있는 절로 대적광전이라고도 하며,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표충사의 대광전은 신라시대에 창건하였다고 하나,  화재나 병화(兵火)로 소실되어 중건,  중수를 거듭하였고 현재의 전각은 조선후기에 중건한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다.   기둥 간격은 공포 간격을 배려하여 같게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대광전(大光殿)은 표충사에서 가장 큰 법당이다. 이 법당에는 모든 번뇌와 미혹을 밝혀서 불멸의 생명, 무한한 행복과 영원한 자유를 이룬 부처님이 계신다. 스스로 이기심과 탐욕과 어리석음을 불러 일으켜서 마음을 산란하게 하고 눈 멀게 하는 중생을 향해 무궁무진한 법문의 세계를 펼쳐 놓으신 곳이 바로 대광전 법당이다.

     

    '대적광전' 편액은 해강 김규진님의 글씨이다...

     

     

     

     

    표충사 대광전의 '목조삼존 여래좌상'

    이 불상은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아미타불과 약사불을 협시로 두고 있다.   3구의 불상은 전체적인 느낌이나 신체의 표현 얼굴이 서로 유사한데 당당한  체구에 표현기법이 뛰어난 작품으로 조성 시기는 18세기 전반로 판단되며 규모가 큰 대작의 우수한 불상이다.

     

     

     

     

     

    대광전 앞에서 바라본 우화루와 범종각

     

     

     

     

    대광전과 팔상전 사이  뒷편에 있는   산령각 칠성전. 독성전이 한 건물을 쓰고 있다. 

     

     

     

     

    산령각 산신은 백발노인으로 묘사되고, 호랑이는 산신의 지시에 따르는 영물로 산신 옆에 배치된다. 삼신산을 배경으로 손에는 부채나 불로초 등을 들고 대머리에 수염과 긴 눈썹이 휘날리는 모습을 그린 산신탱화를 산신각에 안치한다.

     

    칠성전에는 칠원성군을 모셔 수명장원 발원을 하고 있고

     

    독성전에는 나반존자상과 후불탱화로 독성탱화를 안치하는데, 사찰에 따라 탱화만을 배치하기도 한다.

    나반존자는 남인도 천태산에서 홀로 선정을 닦아 나도 이롭게 하고 남도 이롭게 하는 능력을 갖추고 스스로 중생들의 복을 이루는 복밭이 되어, 미륵불이 출현하는 용화세계가 올 때까지 이 세상에 머물러 계시리라 하였다.   그래서 인지 특별히 복을 희구하는 신도들의 경배대상이 되고 있다.

     

     

     

     

     대광전.  관음전.  명부전.  공극전.  법해당

     

     

     

     

    종무소. 공양간. 대광전

    표충사 대광전 지붕 위에는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찰간대가 놓여져 있다.

     

     

     

     

    표충사 가장 안쪽에 관음전. 명부전이   나란하다.

     

     

     

     

    관음전

     

     

     

     

    관음전 내부의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명부전

    표충사 목조 지장상 및 석조 시왕상(경남유형문화재 제459호) 표충사 명부전에 있는 이 조각상들은 복장유물에 의해 1858년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지장보살은 목조도금, 명부 시왕 등의 권속상은 석조 채색 되어있다. 협시상이나 시왕상의 규모가 작아지고, 정면을 향해 앉아 있는 모습 등 19세기 중엽의 명부전 내 지장보살과 권속의 양식적 변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표충사 명부전에는 본존불인 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왼쪽에 도명존자와 오른쪽에 무독귀왕, 그리고 그 좌우에 시왕상과 판관,  귀왕,  사자,  인왕 등 모두 23구의 등상이 봉안되어 있다.

     

     

     

     

    지장보살상은 상반신이 길며,  등을 세우고 머리를 약간 숙인 자세를 취하였다.   수인은 아미타인으로,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오른손은 손등을 위로하여 무릎 위에서 살짝 들었다.  

    방형의 얼굴에 이목구비가 큰 편이며,  사선으로 치켜 올라간 눈이나 눈썹에서 코로 이어지는 깊은 조각선,  큼직한 코,  도톰하면서 날카로운 듯한 인중선이 전체적으로 강한 인상을 만들어 낸다.  

    법의는 변형통견식으로,  오른쪽 어깨에는 편삼을 걸치고 그 위에 대의를 입어 오른쪽 어깨를 살짝 가린 형식이다.   오른쪽 배 앞의 편삼자락은 두껍고,  밋밋하며 도식적 주름을 이룬다.   U자형으로 벌어진 법의 사이로 가슴 밑까지 올려 입은 승각기가 있다.   길게 빼 올린 승각기는 가운데를 사선으로 접었으며,  윗면은 수평이 아니고 둥글게 처리한 점은 특징적이다.  

    가부좌한 양다리를 덮은 군의는 발목에서 한번 접어 수직으로 내려 옷주름을 양측으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물결모양을 이루는 끝단 자락은 두꺼워 보인다.

     

     

     

     

    목조불인 지장보살상과는 달리 도명존자,  무독귀왕,  시왕상 등은 석재로 조성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은 입상으로 시왕상보다 크게 조성되나 표충사의 경우 무독귀왕과 도명존자는 작게 조성되어 본존상의 크기가 더욱 강조되어 보인다.   시왕상은 간단한 좌대에 앉은 의좌상으로, 양손은 모두 무릎 위에 두어 지물을 잡고 있거나 무릎위에 손을 가지런히 두는 간단한 동작들이며,  무표정한 얼굴이다.

     

     

     

     

    나란한  관음전. 명부전 앞에서 바라본 팔상전과 대광전

     

     

     

     

    스님 수행공간  공극전

     

     

     

     

    스님 수행공간 법해당

     

     

     

     

    우화루도 지나고

     

     

     

     

    만일루도 지나

     

     

     

     

    박물관 뒤 계단을 오르면 이곳을 만나는데  이곳도 지난다.

     

     

     

     

     

     

     

     효봉 대선사 사리탑으로 가는 길 ~ 

     

     

     

     

    해방 이후 초대 조계종 종정 효봉 대선사 사리탑과  탑비

     

     

     

     

    효봉대선사의 자연석 부도탑이 있다.

    조계종 통합 종단 초대 종정을 역임하고 말년에 표충사에 주석하시다가 입적한 효봉스님의 사리탑이다.

    기단부는 크다란 자연석을 이용하였으며 상단에 부도탑을 세운 형대이다.

     

     

     

     

    효봉 대선사  탑비

     

     

     

     

     

     

     

     

    효봉스님의 부도탑 뒤쪽에 표충사에서 수행하시다 입적하신 선사들의 부도탑이 모셔져 있지만 오랜 세월로 인해 원래의 형태를 갖춘것은 없고 또한 누구의 부도인지 확인이 어려운 것들을 모아  두었다.

     

     

     

     

     

     

     

     

     

     

     

     

     

     

     

     

    효봉 대선사 사리탑에서 수충루 방향으로 내려선다.

     

     

     

     

     

     

     

     

     

     

     

     

     

    수충루 앞에서

     

     

     

     

    좌측 계곡으로 내려서면

     

     

     

     

     

     

     

    신선이 부러울거 없는 계곡에서 족욕으로 무더위를 날려보낸다.

     

     

     

     

     

     

     

    그렇게 1시간쯤 피서를 하다가

     

     

     

     

     

     

     

    주차장으로 이동하여

     

     

     

     

     

     

     

     

     

     

    수충루에서 일주문으로 이어지는 이 활렵수림은 언제나 방문객들에게 그늘을 선물해 주었다...

    절 일원이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로 지정되어 있는 밀양 표충사에서 충분한 쉼을 하고 다시  경주로 달려  보문동에서 전통순두부집에서 저녁 식사 후  포항도착이다.

     

    오늘도 이 무더위에  함께 해주신 고운분들 많이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 ) ( ) ( )

    .

    .

    .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