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오어사 그리고 원효암
    사찰여행/경상도 2014. 4. 23. 21:44

    오어사 그리고 원효암 

     

     

     

    2014.  4.  23.

     

     

     

     

    2014.  4.  22. 도반들과 함께한 오어사 그리고 원효암이다...

     

     

     

     

     

     

     

     

     

     

    오어서 초입의 오어지다...

     

     

     

     

     

     

     

     

    저수지 쪽으로 나있는 사찰로 들어가는 첫 문, 일주문으로 향한다.

     

     

     

     

     

     

     

     

    물가로 난 길을 따라 걸으면 오어사의 일주문이 호수와 마주보고 있다.

     

     

     

     

     

     

     

     

    오어사 일주문

     

    일주문(一柱門)은 오어지에서 경내로 들어올 때 출입하게 되는 문으로, 근대에 세웠다. 정면에 '오어사' 편액이 걸려 있는데 근대의 서화가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 1868~1933)이 쓴 글씨다.

    저수지 쪽으로 나있는 사찰로 들어가는 첫 문이다.   보통은 기둥을 한 줄로 세웠다고 해서 일주문이지만 흔히 사찰의 초입에 있는 문을 일주문이라 한다.

     

     

     

     

     

     

     

     

    일주문 양쪽으로 커다란 소나무 2그루가 오어사를 찾는 길손들을 반긴다...

     

    일주문과 일직선상에 대웅전이 있는데, 일주문 밖 계단에서 서서 문을 통해 대웅전과, 대웅전에서 예불을 드리는 스님과 신도들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도 꽤 괜찮은 풍경이다.


     

     

     

     

     

     

    지금 오어사는 부처님 오신날을 봉축하는 연등으로 온통 연꽃 세상이다...

     

    오어사의 대웅전은 1985년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88호로 지정되었는데, 무엇보다도 문살이 특이하다.  아래에서 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봉오리에서 꽃이 활짝 피는 모습을 새겨 놓았다.

     

     

     

     

     

     

     

     

     

     

     

     

     

     

     

     

     

     

     

     

     

     

     

     

     

     

     

     

     

     

     

     

     

     

     

     

     

     

     

     

     

     

     

     

    오어사의 대웅전은 무엇보다도 문살이 특이하다.  아래에서 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봉오리에서 꽃이 활짝 피는 모습을 새겨 놓았다.

     

     

     

     

     

     

     

     

     

     

     

     

     

     

    대웅전 왼편으로 요사와 오른편으로 범종각이 있다. 

    요사와 대웅전 사이 오래된 배롱나무 한 그루가 천년의 향기를 담고 늘 반갑게 맞이해 준다.

     

     

     

     

     

     

     

     

    부처님을 뵙고 일주문 옆 불교용품점 마당에서 차를 마시며 내려다본 오어지 전경이다...

     

     

     

     

     

     

     

     

     

     

     

     

     

     

    봄이 되면 운제산은 진달래 축제가 열리고,   가을에는 단풍으로 온 산이 붉게 불탄다.   더불어 오어사 경내도 만발한 진분홍빛 연산홍으로 붉은 꽃다지를 이루고,   깊어지는 저수지 길을 따라 떨어지는 낙엽을 밟으며 걸어보는 것도 평소 보기 드문 운치가 된다.  

     

     

     

     

     

     

     

    오어사에서의 기쁨은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앞쪽에는 원효암이 있고 뒤쪽에는 자장암이 있는데 두 곳 모두 결코 빠질 수 없는 오어사의 자랑거리다. 

     

     

     

     

     

     

     

     

     

     

     

     

     

     

    오어사 뒤쪽에 아스라이 보이는 자장암이 오어사의 운치를 더한다..

     

     

     

     

     

     

     

     

    오어사에서 바라보는  자장암은 운제산 꼭대기 암봉 위에 사뿐히 앉아있다.   가파른 산정의 아슬아슬한 풍경은 절로 감탄사를 자아내게 하고 안개라도 끼는 날이면 아예 그 모습을 감춰버리지만,  보기보다는 오르는 길은 수월하다.  

     

    자장암에서 내려다보는 오어사는 계곡의 경치에 첩첩이 둘려 싸여 산마루와 굽이돌아 흘러드는 계곡물은 전설처럼 아름답다.   물 위에 내려 살포시 흘러가는 잎새 하나라도 놓치고 싶지 않는 아름다움이다.   이 절묘한 선경에 빠져들어 하루든 이틀이든 절벽 위에 앉아있으면 세월을 잊어버리게 된다.

     

     

     

     

     

     

     

     

     

     

     

     

     

     

    원효암은 다리를 건너 계곡 깊은 곳으로 한참을 올라가야 한다.   원효암을 가려면 오어지 위의 다리를 건너야 하는데,   큰 물고기 떼가 다리 아래에서 유유히 나들이를 즐기는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  

     

     

     

     

     

     

     

    원효암으로 가는 다리이다. 다리 밑에는 많은 물고기들이 노닌다.

     

     

     

     

     

     

     

     

     

     

     

     

     

     

     

     

     

     

     

     

     

     

     

     

     

     

     

     

     

     

     

     

     

     

     

     

     

     

     

     

     

    원효암을 오르는 산허리에서 바라보는 오어사는 오어지와 함께 한 폭의 그림으로 앉아 있다.

     

     

     

     

     

     

     

     

     

     

     

     

     

     

     

     

     

     

     

     

     

     

     

     

     

     

     

     

     

     

     

     

     

     

     

     

     

     

     

     

     

     

    원효암은 다리를 건너 계곡 깊은 곳으로 한참을 올라가야 한다. 

     

     

     

     

     

     

     

     

     

     

     

     

     

     

     

     

     

     

     

     

     

     

     

     

     

     

     

     

     

     

     

     

     

     

     

     

     

     

     

     

     

     

     

     

     

     

     

     

     

     

     

     

     

     

     

     

     

     

     

     

     

     

    첩첩 산중 원시림 아래 고운 산길을 한참 오르다 보면 울창한 숲 사이로 히미하게 전각이 보이기 시작한다...

     

     

     

     

     

     

     

     

     

     

     

     

     

     

    암자 입구에는 벗꽃잎이 날리는 운치있는곳에  참으로 물맛이 좋은 약수도 있었다..

     

     

     

     

     

     

     

     

     

     

     

     

     

     

    원효암에도 예쁜 연등이 길손들을 맞아준다...

     

     

     

     

     

     

     

     

    정갈하고 깨끗한 느낌의 원효암 전경이다...  왼쪽전각은 관음전,  오른쪽은 요사채와 공양당이다..

     

     

     

     

     

     

     

     

    오어사 원효암의 관음전이다...

     

     

     

     

     

     

     

     

     

     

     

     

     

     

     

     

     

     

     

     

     

     

     

     

     

     

    관음전 불단 좌측에는 원효암과 자장암을 명명하신  원효대사 진영이다...

     

     

     

     

     

     

     

     

    오어사 원효암 관음전 내부 벽화다...

     

     

     

     

     

     

     

     

     

     

     

     

     

     

     

     

     

     

     

     

    오어사 원효암 삼성각이다...

     

     

     

     

     

     

     

     

     

     

     

     

     

     

     

     

     

     

     

     

     

     

     

     

     

     

     

     

     

     

     

     

     

     

     

     

     

    오어사 원효암 삼성각에서 내려다본 원효암 전경이다....

     

     

     

     

     

     

     

     

     

     

     

     

     

     

     

     

     

     

     

     

    오어사 원효암 공양당를 겸한 요사다...

     

     

     

     

     

     

     

     

     

     

     

     

     

     

    오어사 원효암 요사 앞의 목련의 자태가  참으로 화사하다....

     

     

     

     

     

     

     

     

    요사 한쪽의 장각 땔감도 너무나 정겹다....

     

     

     

     

     

     

     

     

    오어사 원효암 마당의 소박한 채전.... 

     

     

     

     

     

     

     

     

    남자전용 해우소가 넘 정겹다...

     

     

     

     

     

     

     

     

    오어사 원효암을 호위하듯 커다란 느티나무가 그늘을 선사한다...

     

     

     

     

     

     

     

     

    참으로 정갈하고 소박한 오어사 원효암을 아끼듯 뒤로 하고 ... 

     

     

     

     

     

     

     

     

     

     

     

     

     

     

     

     

     

     

     

     

    다시 원시림을 숲길을 지나 고운 산길을 걸어 오어사로 내려 간다...

     

     

     

     

     

     

     

     

     

     

     

     

     

     

     

     

     

     

     

     

    원효암서 오어사로 가다가 바라본 오어지의 흔들다리다...

     

     

     

     

     

     

     

     

     

     

     

     

     

     

    원효암을 나와  다시  오어지 위의 다리를 건너야 한다... 

     

     

     

     

     

     

     

     

    큰 물고기 떼가 다리 아래에서 유유히 나들이를 즐기는 모습을 가까이서 바라보며 다리를 건넌다. 

     

     

     

     

     

     

     

     

    다시 오어사 일주문 앞을 지나 광장으로 나간다...

     

     

     

     

     

     

     

     

    오어사 일주문 앞에서 바라본 오어지 다리다...

     

     

     

     

     

     

     

     

    오어사 주변에는 1964년에 완공된 만수 면적 12만평에 물의 양도 500만 톤에 이르는 넓은 오어지가 있다.   용이 감싸고 있는 듯한 호수와 기암절벽의 아름다움을 가진 운제산의 산세가 함께 어우러져 승경을 빚는 곳이다.

     

     

     

     

     

     

     

     

     

     

     

     

     

     

     

     

     

     

    오어지 현수교 건너편에서  바라보는 오어사는 오어지와 함께 한 폭의 그림으로 앉아 있다....

     

     

     

     

     

     

     

    오어지 주변에는 고운 둘레길도 있다...

     

     

     

     

     

     

     

     

     

     

     

     

     

     

     

     

     

     

     

     

    오어사는 신라 26대 진평왕(579~631)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19대 사찰 중 하나로 당초에는 항사사(恒沙寺)라 불렀다. 이후 원효대사와 혜공대사가 이곳에서 수도할 때 서로의 법력을 겨루고자 개천의 고기를 한 마리씩 삼키고 변을 보이는데 한 마리가 살아서 힘차게 헤엄치는 것을 보고, 서로 자기 고기라고 해서‘나 오(吾)’,‘고기 어(魚)’자를 써서 오어사가 되었다고 한다. 문제의 고기를 놓아준 곳이 지금의 오어지(吾魚池)이다. 이 이야기는 일연 스님이 지은 『삼국유사』에 나와 있는데, 스님은 1264년에 오어사에 머문 적이 있었으므로 당시까지 전해오는 이야기를 채록한 것이라 한다.

     

     

     

     

     

     

     

     

     

     

     

     

     

     

     

     

     

     

    신라 4대 (원효,  자장,  혜공, 의상) 조사를 배출한 우리나라 최고의 성지 오어사를 지척에 두고 너무 가까이 있어 더 자주 못와 본 오어사 이다.

     

    명 사찰 오어사를 도반들과 함께 들러 보며 다시금 귀한 인연과 건강함에  감사한 귀한 하루였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