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해미읍성(충남 서산시)
    여행방/충청도 2013. 5. 11. 16:37

    해미읍성 (사적 제116호)

      

    2013.   5.   11.

     

     

    2013. 5. 10. 07:20 포항농협 영농회에서 간월암을 향한다.

    대포고속도로를 달려 경부고속도로 경유해 칠곡휴게소에서 잠시 휴식 후, 다시 대전에서 서해안쪽으로 진입산수 수려한 공주 휴게소에서 잠시 휴식 후 예산IC를 거쳐 4간 30분을 달려 11시 50분에 간월암에 도착하니 서해바다가 우리를 맞아준다....

     

    식사 후 간월암을 둘러 보고 찾아간 해미읍성....

     


     

     

     

     

     

    주차장에서 해미읍성으로 가는 길이다

     

     

     

     

     

     

     

    잘 쌓아진 성벽과 펄럭이는 깃발들이 참 인상적이다.

     

     

     

     

     

     

     

     

     

     

     

     

     

     

     

    해미읍성의 정문인 진남문

     

     

     

     

     

     

     

     

     

     

    입구에 다가가니 읍성을 지키는 포졸분들이 계셨다.

    옛느낌을 주기위한거 같은데 들어갈때 인사도 해주시고 참 정겨운 분위기였다.

     

     

     

     

     

     

     

     

    해미읍성은 고려 말부터 극성을 부렸던 왜구를 막기 위해 조선 태종 때 쌓은 석성으로 낙안읍성 .고창읍성과 함께 현재 남아있는 조선시대 대표 읍성이다.  천주교 박해성지로도 유명 하다.

     

     

     

     

     

     

     

     

     

     

     

     

     

     

     

     

    포항은 아카시아꽃도 피었는데 여기 서산는 아직  잎이안난 나무도 있다.

     

     

     

     

     

     

     

     

    가족나들이로 오기도 좋고...  연인들끼리 산책으로 즐기기에도 참 좋다.    아직은 유료화가 되지 않아서인지  많은 분들이 찾아 주시는 것 같다.

     

     

     

     

     

     

    지금은 비극의 흔적보다 아늑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다..

     

     

     

     

     

     

     

    회화나무와 마을 관아

     

    1801년(순조 1) 신유박해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맞이했을까?

    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역사 속으로 떠나보자.  1839년(헌종 13) 풍양 조씨 세력은 천주교 신자에게 “만약 처형장으로 가는 길에 있는 빨간 줄을 밟고 지나간다면 목숨만은 살려 주겠다”고 협박했다.

    하지만 천주교 신자들은 협박에도 불구하고 단 한사람도 빨간 줄을 밟고 지나가지 않았다.

    천주교를 믿으면 하나뿐인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데도 눈 하나 깜박하지 않고 처형장으로 발걸음을 뗐다.  이에 화가 난 풍양 조씨 세력은 회화나무 가지에 철사 줄을 걸고 천주교 신자의 목을 메달아 고문을 가했지만 매서운 고문에도 신자들은 고개조차 조아리지 않았다.

     

    위 사진 회화나무를 보면 철사자국이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씨 세력은 많은 천주교 신자를 한꺼번에 죽이기 위해 해미읍성 위에서 떨어뜨리는 잔인함까지 보였다. 1839년에 일어난 기해박해 사건은 표면적으로 천주교를 박해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실제로는 천주교에 관대한 안동 김씨 세력으로부터 권력을 탈취하기 위해 풍양 조씨 세력이 의도적으로 일으킨 것이다.

     

    이 박해로 천주교인 100여명 이상이 목숨을 잃고 400여명 이상이 유배됐다.  단지 천주교를 믿는다는 이유로 100여명 이상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박해의 현장을 견학하면서 목숨을 잃은 천주교인들이 하늘에서 평안하기를 염원한다

     

     

     

     

     

     

     

     

    수령 300년의 회화나무로 읍성 옥사에 수감된 천주교 신자들을 끌어내서 이 나무에 매달아 고문한 곳

     

     

     

     

     

     

     

     

     

    옥사와 고문체험

     

     

     

     

     

     

     

     

     

     

     

     

     

    해미읍성의 옥사

     

     

     

     

     

     

     

     

     

     

     

     

     

     

     

     

     

     

     

     

     

     

     

     

     

     

     

     

    옥사 앞의 우물

     

     

     

     

     

     

     

     

    전통가옥으로 가는 길에는 전통 놀이가 놓여져 있다.

     

     

     

     

     

     

     

     

     

     

     

     

     

     

     

     

     

     

     

     

     

     

     

     

     

     

     

     

     

     

     

     

     

     

     

     

     

     

     

     

     

     

     

     

     

     

     

     

    해미읍성 초가집의 고풍스런 모습과 유채꽃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객사를 전통의복 체험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관리들이 머물며 일을 보는 동헌

     

     

     

     

     

     

     

     

     

     

     

     

     

     

     

     

     

     

     

     

     

     

     

     

     

     

     

     

     

     

     

    동헌

     

     

     

     

     

     

     

    관아

     

     

     

     

     

     

     

     

     

     

     

     

     

     

     

     

     

     

     

     

     

     

     

     

     

     

     

     

     

     

     

     

     

     

     

     

     

     

     

     

    오른쪽에 있는 동문

     

     

     

     

     

     

     

     

     

    청허정 가는 길

     

     

     

     

     

     

     

     

     

     

     

     

     

     

     

     

     

     

     

     

     

     

     

     

     

     

     

     

     

     

     

     

     

    청허정에서 북문가는 길

     

     

     

     

     

     

    동헌 뒷쪽에 있는 소나무숲으로 이곳의 소나무들은 적당히 휘어지고 굽었는데

     

     

     

     

     

     

     

     

     

     

     

     

     

     

     

     

     

     

     

     

     

    전통 주막이다..

     

     

     

     

     

     

     

     

     

     

     

     

     

     

     

     

     

     

     

     

     

     

     

     

     

     

     

     

     

     

     

     

     

     

     

     

     

     

     

     

     

     

     

     

     

     

     

     

     

     

     

     

     

     

     

     

     

     

     

     

     

     

     

     

     

     

    공원 같은 성 안을 산책하며 예스러운 정취를 즐기고 돌아 왔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