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명락가사 2007. 07. 05 강릉 시내를 벗어나 동남쪽 해안도로를 따라 약 30분을 달리다 보면 화비령 동쪽 괘방산 중턱에 자리잡은 대찰(大刹) 등명낙가사를 대할 수 있게 된다. 등명낙가사는 이름에서 풍기는 것처럼 해수관음도량의 모양새를 갖추고 있다. 이 절은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
예천 장안사 2007. 4. 14. 2007. 4. 13. 중부 농촌지도자회. 생활개선회 견학 인솔하면서 다녀온 장안사... 삼계(三界)는 유심(唯心)이요 만법(萬法)은 유식(唯識)이라.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뒤 국태민안을 염원하여 전국 세곳의 명산에 장안사를 세웠으니, 금강산과 양산 그리고 이곳 국토의 중간..
용 문 사 2006. 10. 15. 용문사는 신라 신덕왕 2년(913) 대경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일설에는 경순왕(927~935재위)이 친히 행차하여 창사 하였다고 한다. 고려 우왕 4년(1378) 지천대사가 개풍 경천사의 대장경을 옮겨 봉안하였고 조선 태조 4년(1395) 조안화상이 중창하였다. 세종 29년(1447) 수..
휴휴암 2006. 9. 8. 2006. 9. 7. 초계사에서 절 순례다. "쉬고 또 쉬어간다"는 뜻을 가진 휴휴암은 1997년 창건되었다. 휴휴암 절 아래는 작은해변과 기암괴석들이 보여주는 멋진 풍경이 잇어 사람들로 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있다. 범종각 지혜관음보살 포대화상과 동자승 불이문을 들어서면 바..
금 산 사 2006. 8. 5. 조선 성종 23년(1492)에 작성된 "금산사 5층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금산사는 이미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가섭불 때에 있었던 옛 절터를 다시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이 오래 전부터 부처님과 인연이 깊었던 것임을 알수 있게 한다. 흔히 통일신..
오대산 월정사와 한국자생식물원 2005. 10. 30. 월정사 일주문일주문~ "月精大伽藍" 현판은 탄허(呑虛)스님 친필 월정사 전나무숲 아름다운 월정사 전나무 길 보이는 전각은 육수암 -비구니 스님의 참선 도량 천왕문(天王門)이 보인다. 석조보살좌상(보물 제139호,-일명 약왕보살(藥王菩薩)이..
해동용궁사 2005. 8. 20. 해동 용궁사는 1376년 공민왕(恭民王)의 왕사(王師)였던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창건으로 한국삼대관음성지(三大觀音聖地)의 한 곳이며 바다와 용과 관음대불이 조화를 이루어 그 어느 곳보다 신앙의 깊은 뜻을 담고 있으며, 진심으로 기도를 하면 누구나 꼭 현몽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