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효재(영천시 자양면 충효리 626)여행방/경상도 2017. 2. 20. 10:02
충효재 (경상북도 기념물 제81호)
2017. 2. 20.
2017. 2 . 19. 우수가 지나서 그런지 이젠 바람도 찬 기운이 적어 나들이 하기 좋은 날씨를 맞아 가족과 함께 떠나 영천 화북면 정각리 별빛마을 미나리 먹기와 근처의 보현산 천문대 나들이를 나섰다가 돌아오는 길에 들린 중효재....
충효리 마을을 지나는 길 가에 '충효재'를 알리는 문화재 표지판이 눈에 들어와 원래 답사 계획에는 없었지만 잠시 가까운 곳에 차를 세우고 충효재를 살펴보고 가기로 마음 먹었다 ...
충효재는 경북 영천시 자양면 충효동에 있는 재사 건물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81호이다. 1907년 이곳을 일대로 의병을 조직해서 활동했던 동엄 정환직과 정용기 부자의 충효정신을 추모하기 위하여 1923년에 건축한 재사이다.
동암 정환직 선생은 영천시 임고면과 자양면에 대대로 자리잡아왔던 정몽주의 후손 영일정씨 집안의 선비로 고종 25년(1888)에 의금부도사를 지냈으며 고종 31년(1894) 토포사가 되어 동학농민운동을 진압하는데 앞장서기도 하였다.
그 후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인 이곳으로 내려와 있던 중 이토 히로부미에 의해서 강제로 을사늑약이 체결되었고 고종이 그에게 밀지를 보내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구할 것을 명령하였다.
그리하여 아들 정용기와 더불어 1907년 이 일대에서 '산남의진(山南義鎭)'이라는 의병대를 조직하였다 .
그해 10월 영천수비대 소속 일본군과 죽장 입암 일대에서 전투가 발생하였는데 아들인 용기가 총탄에 맞아 순절하기도 한다 .
그러나 일대의 지형을 잘 활용하여 죽장 청송 신령 등지에서 일본군 수비대에게 큰 피해를 입히는 전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에 정환직 선생은 일본군 수비대에게 잡히게 되고 반일의 뜻을 굽히지 않아 결국 순국하시어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
훗날 광복 이후에 그는 1963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山南義陳 정대장 양세출신 충효동 사적비
‘삼남’은 문경새재 즉 조령 이남의 영남지방을 이르고 ‘의진’은 오직 구국일념의 충성된 의기로 뜨겁게 뭉쳐진 의병을 줄여 일컫는 말이다.
그러한 산남의진 의병활동은 일제의 대대적인 토벌과정에서 진압되었지만 그를 따르던 무리들과 후손들이 정환직과 정용기 부자를 기리기 위해 1923년 재사 건물을 조성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충효재이다.
1978년에 다시 수리가 이루어지면서 현재 정문인 '호국문'이 새롭게 신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사당의 이름이 충효재라고 이름 붙여지게 되면서 이전에 '검단동'이라고 불리었던 마을의 명칭도 '충효리'로 바뀌게 되었다
입구문에 걸려 넘어져 울다 그친 손녀 아이의 표정이...
재실은 정면 3칸 측면 2칸 홑처마 팔작지붕 구조이며 평면은 좌우에 방을 1칸씩 들인 전형적 재사(齋舍)건물이다. 삼량집이며 자연석을 주초로 사용하였다.
정원에는 '짐망화천지수전세비' 유허비가 있다.
‘경이 화천지수를 아는가?’ 이는 제나라 환공을 적의 추격에서 탈출시킨 봉추부의 고사로써 정환직으로 하여금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되찾는데 힘써 달라는 황제의 간곡한 당부가 담겨져 있었고 이에 정환직은 을사조약 직후 12월 5일 바로 관직을 사퇴하고 아들 정요기와함께 계획을 수립하여 먼져 양남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그 결과 삼남 의진이 조직되었다.
사위와 그새 기분이 좋아진 큰손녀
충효재의 이 건물은 1987년 보수와 정화를 하였다고 하며 주소가 영천시 자양면 충효리 626번지 라고 하니 이 곳에는 충효재가 있고 충효사라는 절이 마을을 지키고 있는 곳이다.
좋은 날씨를 맞아 가족과 함께 떠나 영천 화북면 정각리 별빛마을 미나리를 먹고 근처의 보현산 천문대 나들이를 나섰다가 돌아오는 길에 들린 중효재를 잘 돌아 보고 이제 정감 넘치는 시골길을 달려 포항으로 향한다..
.
.
.
.
'여행방 > 경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드라마세트장(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과 파도소리길 걷기 (0) 2017.03.04 영천 치산리 인종태실(경북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산24번지) (0) 2017.02.22 영천 별빛마을 미나리 먹기와 근처의 보현산 천문대 나들이(경북 영천 화북면 정각리) (0) 2017.02.19 경주 법주와 경주 교동마을 (0) 2016.11.22 최부자집으로 불리우는 경주교동 최씨고택(중요민속자료 제27호) 과 경주 교동마을 (0) 2016.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