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길산(610m)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 북서쪽에 자리잡고 있다.





수종사 올라가는 길

절 입구 일주문까지는 30여분을 걸어서 올라갔다.
가파르고 울퉁불퉁했지만 한여름의 숲 속은 풀냄새 가득하고 나뭇잎 사이로 비추는 햇살의 아름다움 때문에 올라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운길산 수종사......... 편액이 너무 큰 느낌이다.





어느 고승대덕의 부도탑

첫번째 일주문을 들어서면 부도(좌)와 미륵불(우)이 세워져 있다.

저 멀리 보이는 불상이 환하게 보이고 마음이 정화된 듯 나도 따라 환해지고...

일주문을 지나서며 숨을 고르면 미륵불이 빙긋이 웃으며 맞아준다.



걸어 올라가는 길 산 중턱 높이에 걸쳐놓은 듯한 숲 속으로 보이는 수종사

불이문(不二門)을 통과한다. 둘이 아닌 진리의 세계로 가는 길은 맷돌을 꽃방석처럼 깔았다.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으며, 생과 사, 만남과 이별 역시 그 근원을 따져보면 모두가 연결된 하나이다. 이 문을 지나 불이(不二)를 알게 되면 비로소 부처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불이문을 건너다 무심코 내려다본 동그란 원...말 그대로 차별 없고 모든 것은 평등하다는...






나무계단을 지나 올라가는 길이 무척 아름다웠다. 한 발 한 발 내딛는 순간마다 마음이 맑아지는...


공양물을 실어 나르는 도르레도 보이고.......


운길산 8부 능선에 자리한 수종사 절터는 좁다. 산비탈을 깍은 상단에는 약사전, 나한전, 응진전, 산신각
이 자리잡았고, 중간에는 대웅보전, 강학전, 선불장, 삼정헌, 종각, 하단에는 요사채와 해우소가 계단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멀리서 보면 절벽위에 절집이 올라앉아 있는 형상이다.


아, 드디어 그 유명한 수종사에 오른다


수종사 입구 계단 옆에 흐르는 감로수로 목을 축이고 부처님에게 예를 올렸다.

절 입구에 올라서자 어디선가 차향이 흘러나오는데 수종사 찻집에서 나오는 향이었다.

수종사 대웅보전
柱聯
佛身充滿於法界 (부처님은 법계에 충만하시옵고)
普現一切衆生前 (모든 중생앞에 널리 나타나시어)
隨緣赴感靡不周 (인연에 따라서 감흥을 나타내니 두루 아니 미침이 없다)
而恒處此菩提座 (그래서 항상 늘 이곳 보리좌에 계신다)




왼쪽: 禪定印을 하시는 아미타 여래님, 가운데: 智拳印을 하시는 비로자나 부처님, 오른쪽: 施無畏印 與願印을 하시는 석가여래님 세분 부처를 모셨기 때문에 대웅보전이라고 부른다.

대웅전 탱화








水鍾寺는 남양주시에 있는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로, 남양주시 조안면의 운길산 중턱에 있다. 한강이 바라다보여 전망이 시원한 곳에 지어져 있다. 신라 시대에 처음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으며, 조선 세조와 관련된 일화가 있다.
세조가 지병 치료를 위해 강원도에 다녀오다가 양수리에서 하룻밤을 보내던 중, 은은한 종소리가 들여오는 곳을 찾아가 보니 토굴 속에 18 나한상이 있고 바위 틈에서 떨어지는 물방울이 종소리를 내더라는 것이다. 이에 세조가 16 나한을 봉안해 절을 짓고 수종사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전설이다.
그러나 사찰에 세조의 고모인 정의옹주의 부도가 남아있는 것은 그 이전에 이미 상당 규모의 절이었음을 시사해, 이 전설이 얼마나 정확한지는 알 수 없다.
19세기에 중건한 기록이 있으며, 한국 전쟁 때 피해를 입어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현대에 다시 지은 것들이다. 전망대가 있어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지점인 양수리 풍경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삼정헌이라는 이름의 다실에서는 차를 마실 수 있다.
아담한 규모의 절이며 경내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된 팔각오층석탑과 제157호인 조선 세종 21년에 세워진 부도가 있다. 세조가 중창할 때 심은 것으로 전해지는 은행나무도 두 그루 남아 있다.

좌-산신각 우-약사전

약사여래를 모신 약사전




산신각



응진전
응진전은 나한전(羅漢殿)이라고도 하고 석가모니부처님을 주존불로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조성하고 그 좌우에 부처님의 제자 16나한을 모셔 놓은 전각이다. 500나한을 봉안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오백나한전 또는 오백전이라고 합니다. 500나한의 숫자는 석가모니 입멸 후 경전 결집당시 500비구가 참여한 데에서 유래하는데, 이미 아라한의 경지에 오른 이들 제자들은 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장차 성불하리라는 수기(授記)를 받은 분들이다.






수종사 응진전에서 바라본 흐트러짐 없이 단정한 수종사의 전경이다..




동자상


우측의 삼정헌(三鼎軒) 으로 이 수종사를 찾는 모든이에게 무료로 개방되어 있어 다양한 차를 마실 수 있다.
삼정헌에서 멀리 바라다 보이는 두물머리 풍경은 가히 절경이라고 할 수 있다. 오후 5시 이후면 손님을 받지 않는다.


삼정헌 보살님이 특별히 내어주신 차 한잔을 마시며 삼정헌 찻방에 흘러 나오는 '신묘장구 대다라니'를 듣는다. 보살님!~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성불하세요....




멋진 경관과 함께 수종사를 유명하게 만드는 곳이 ‘삼정헌’이라 불리는 경내 다실이다. 볕이 쏟아지는 통창문 밖으로 두물머리를 내다보며 맛 좋은 약수로 끊여내는 녹차의 맛은 감동적이다. 운길산을 찾는 즐거움 중의 하나가 삼정헌에서 차 향기를 맛는 것이며, 이 즐거움을 위해 수종사만 찾아오는 이들도 많다고 한다. 녹차 값은 따로 계산하지 않지만 마음을 담아 시주함에 불전으로 넣는다.




저 멀리 두물머리가 한눈에 들어오고

녹음에 둘러싸인 절 마당에서 만나는 두물머리 풍경은 감탄이 절로 나오게 한다. 티 없이 맑은 하늘 아래 기품 있는 산세, 그 아래로 흐르는 두 줄기 강물이 하나로 합쳐져 깊은 호수를 이룬다는 사실만으로도 감동이 된다. 이 모습을 본 사람들은 “가슴속까지 뚫리는 것 같아” “힘들게 올라온 보람이 있네” 하고 감탄을 쏟아놓는다. 사람의 마음을 빼앗는 아찔한 그 모습을 바라보고 있으면 바람에 실려 풍경(風磬)소리도 들려온다. 여기에다 녹차 한 잔까지 더하면 부처가 따로 없다.

운길산 수종사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두물머리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북한강과 남한강의 두 물이 만난다는 두물머리.. 한자로는 양수리(兩水里)다.

수종사 경내에서 내려다 본 두물머리

선불장 앞마당 끝, 나지막한 담장 앞에 서서 두 강줄기가 소리없이 평화롭게 어울어지는 풍경을 보노라면 가슴이 탁 트인다.


'선불장'으로 요사와 함께 종무소로 사용하는 전각이다'




수종사 오층석탑과 삼층석탑 그리고 부도가 일렬도 단정히 서 있다. 저 멀리 강변을 내려다 보면서....
원래는 이 자리에 있던 것이 아닌데 이렇게 모아 두었다.

정의옹주 석조부도(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157호) - 좌측부도
팔각오층석탑과 나란히 서있는 이 부도는 태종의 다섯 번째 딸 정의옹주 부도로 알려져 있다.
높이 2.3미터에 팔각원당형을 그 기본구조로 삼았다.
전통적으로 스님의 유골을 모시기 위해 부도를 조성하지 스님 이외의 부도가 경내에 안치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 부도는 원내 경내 왼쪽산비탈에 놓여 있는 것을 이곳에 옮긴 것이다.

8각5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
높이 330㎝. 본래 수종사 경내에서 동쪽으로 벗어난 언덕진 곳에 있던 것을 1970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왔다.
기단부는 2단의 8각 지대석을 계단식으로 올린 위에 상대석·중대석·하대석으로 이루어 수종사 경내에 있는 조선 초기의 진 기단이 있고 다시 그 위에 5층의 탑신이 있는 구조이다.
8각 지대석에는 각 면마다 안상을 음각하고, 기단부의 하대석과 상대석에도 안상과 함께 단판(單瓣)의 복련과 앙련을 각각 선각에 가깝게 부조했다.
5층의 탑신은 높이와 폭이 점차 줄어들었으나 기단부가 높고 좁아 전체적으로 세장(細長)한 형태로 안정감이 적다.
탑신 표면에는 각 모서리마다 원형의 석주형(石柱形)을 모각(模刻)하고 그 옆으로 가는 우주(隅柱)를 새겼다. 옥개받침은 3단이며 낙수면과 전각부(轉角部)의 반전은 있으나 옥개석의 폭이 좁고 두터워 둔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의 전각 끝마다 풍경이 달려 있고, 상륜부는 일부 파손되었으나 8각의 노반(露盤)·보륜(寶輪)·보주(寶珠)가 놓여 있다.
1957, 1970년에 탑의 여러 부분에서 금동불감, 목조불감 및 목조불상, 금동불보살상 등 조선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탑의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출토된 불상과 관련하여 1459~93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와 거의 같은 모습의 8각7층탑이 인근 남양주군 와부읍 월문리의 묘적사에 있어 주목된다.

스님들이 공부하시는 경학원




경학원 앞으로 종각이 자리하고 있다.


조선의 문장가였던 서거정은 수종사를 가르켜 ‘동방의 사찰 중 최고의 전망을 가진 사찰’이라 했다.
불국토에서 최고의 전망과 최고의 차 맛을 누렸으니 미혹의 세계에서 빠져 나옴직하다. 마음속의 탐욕과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탈문으로 향하니 거대한 은행나무 한 그루가 그 곳에 걸려있다. 마치 풍경화처럼....

해탈문 앞으로는 세조가 절의 중창을 마친 기념으로 심었다는 525년 된 은행나무가 그 위용을 과시하고 있는 듯 하다.

수령이 500년이나 지난 지금에도 거대한 은행나무는, 오늘도 말없이 두물머리를 지켜보고 있다.


세조가 직접 심었다는 수령 500여 년의 은행나무다. 높이 35m, 가슴높이 둘레 6.5m에 이르는 만큼 수많은 가지들이 뻗어 있다.





해탈문


해우소 옆에도 오래 된 은행나무 한 그루가 더 있다. 당당하고 여유 있는 두 은행나무는 많은 사람들에게 넉넉함을 나누어 주고 있다.

은행나무 앞에는 이 절의 연혁이 상세히 적혀있는 '수종사 사적기'가 있다.
은행나무 옆에 세워진 수종사 사적기에 따르면 고려의 태조 왕건이 상서로운 기운을 좇아 이곳에 이르러 구리종을 얻음으로써 부처의 은혜를 통해 고려를 건국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세조가 직접 심었다는 수령 500여 년의 은행나무다. 높이 35m, 가슴높이 둘레 6.5m에 이르는 만큼 수많은 가지들이 뻗어 있다. 은행나무 옆에 세워진 수종사 사적기에 따르면 고려의 태조 왕건이 상서로운 기운을 좇아 이곳에 이르러 구리종을 얻음으로써 부처의 은혜를 통해 고려를 건국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해우소 옆에도 오래 된 은행나무 한 그루가 더 있다. 당당하고 여유 있는 두 은행나무는 많은 사람들에게 넉넉함을 나누어 주고 있다.

종각에서 해탈문으로 가면 오른쪽으로 스님 요사로 높게 쳐진 담당이 보인다..




다시 한번 수종사를 둘러 보며 아름다운 전경을 눈에 담는다......














불이문을 지나

일주문도 지나니

일주문 바로 앞 수종사 찻집도 뒤로하고....


많은 문인이 수종사에 대한 글을 남기고 그런 수종사에 대한 글을 보면서 나도 꼭 한번 가봐야지 했었는데
이번에 기회가 되어 수종사를 올수 있었다.
차 한 잔의 여유로움도 좋았겠지만 또 다른 느낌으로 수종사에 올라 나만의 느낌을 담아와서 참 좋았다.
그곳에서 바라본 양수리 두물머리 풍경이 아름다웠고 수종사 올라가는 산길이 참 좋았다.
한여름에 느낄 수 있는 나무들의 이야기를 들었으니 말이다.
땀 흘리며 올라가는 길에
햇볕이 얇아 좋았고 그늘이 두꺼워 시원한 바람결도 느낄 수 있었다.
아직 비포장 흙길을 걸어보는 것도 좋았고 이 길을 걸으며 자신을 닦는... 한 번쯤 생각하게 되는...
이런 느낌으로 많은 사람들이 다시 찾게 되는 곳이 아닐까 싶었다.
가을에 단풍이 들면 더 아름다울 것 같은 수종사!!!
언제 또 가볼지 모르지만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것 같다....
..............................................................................
2013. 7. 10. 5년만에 다시 찾은 수종사...........감회가 새롭다......
도린결과 함께 두물머리와 세미원을 오면서 다시 오른 수종사는 여전히 변함이 없었다...
그때의 풀냄새, 바람 냄새, 그리고 차향 가득했던 수종사 까지도 그대로 인듯 했다...
이렇게 건강하게 다시 수종사를 찾을 수 있음에 또 한번 부처님전에 감사의 기도를 올려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