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궁리 유적, 고도리 석불 입상(전북 익산시) - 2011. 7. 7.여행방/전라도 2011. 10. 17. 15:45
익산 왕궁리 유적과 고도리 석불 입상
2011. 10. 17 .
2011. 7. 7. 가본 익산 왕궁리 유적지이다...
‘왕궁리 성지’라고도 부르며 마한·도읍지설,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나 별도설, 안승의 보덕국설, 후백제 견훤의 도읍설이 전해지는 유적이다.
발굴조사한 결과, 이 유적은 적어도 세 시기(백제 후기∼통일신라 후기)를 지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석탑 동쪽으로 30m 지점에서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보이는 기와 가마 2기를 발견했다. 특히 탑을 에워싼 주변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평지성으로 생각되는 성곽 유물을 찾았다.
성곽의 모습은 현재 발굴을 통해 점점 드러나고 있다. 또한 성곽 안팎으로 폭이 약 1m정도로 평평한 돌을 깔아 만든 시설이 발견되어 성곽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지역 안에 있는 왕궁리 5층석탑(국보 제289호)과 절터의 배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유물,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의 성이 발견되어, 백제 후기의 익산 천도설이나 별도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름과 용. 연꽃등으로 장식된 닫집
출토된 대형 토기
왕궁리 5층석탑 (국보 제289호)
익산 왕궁리 유적을 본 후 고도리 석불입상을 보러 간다.
동쪽 불상
사랑의 전설이 숨어있는, 익산고도리석불입상
익산고도리석불입상은 약 200m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마주 서 있는 2구의 석상으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46호로 지정되었다.
사다리꼴 모양의 돌기둥에 얼굴, 손, 대좌 등이 표현되어 있다. 이 석불은 200m쯤 거리를 두고 서로 바라보고 서 있는 남녀상이다.몸은 사다리꼴의 돌기둥으로 굴곡이 없으며, 팔은 표현되지 않고 손이 간신히 배에 나타내었다. 머리에는 4각형의 높은 관(冠) 위에 다시 4각형의 갓을 쓰고 있다. 4각형의 얼굴에는 가는 눈, 짧은 코, 작은 입이 간신히 표현되어 있는데, 토속적인 수호신의 표정이다.
도포자락 같은 옷은 특별한 무늬없이 몇 줄의 선으로 표현하였다. 대좌(臺座)와 불상을 같은 돌에 새겼는데, 앞면을 약간 깍아 대좌같은 모양을 만들고 있다. 사다리꼴의 돌기둥 같은 신체나 비사실적인 조각수법이 마치 분묘(墳墓)의 석인상(石人像)과 비슷하다. 고려시대에 이르면 신체표현이 지극히 절제된 거대한 석상이 많이 만들어지는데 이 불상 역시 그러한 작품 중의 하나로 보인다.
익산고도리석불입상의 전설
익산고도리석불입상에는 사랑하는 연인의 이야기가 전설로 되어 전해지고 있다. 불상에 얽힌 전설에 의하면 음력 12월에 두 불상이 만나 1년 동안의 회포를 풀고 새벽닭 우는 소리를 듣고 제자리로 돌아가는 남녀상이라고 한다.
불상의 목을 보면 무척 짧게 표현되어있으면서도 어깨와 얼굴이 거의 붙어있는데 이러한 형태가 연인의 전설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 주고 있다.
동쪽 불상
서쪽 불상
'여행방 > 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성포(전남 영광군 ) (0) 2012.09.23 진포해양테마공원.구 조선은행.구 군산세관(전북 군산시)-2011. (0) 2011.10.17 곰개나루터, 웅포대교(전북 익산시)-2011.7.7. (0) 2011.10.14 입점리 고분(전북 익산시)-2011.7.7 (0) 2011.10.13 채문식 문학관, 금강하류, 금강 철새 조망대(전북 군산시)-2011.7.7. (0) 2011.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