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우도
1. 심우(心牛) - 자기의 본심인 소를 찾아 나선다. 이 소는 내 마음자리를 말하고 있다.
소는 길들여지지 않은 마음을 상징한다.
소는 고집이 세서 황소고집이라 한다.
중생심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소를 비유해서 내 마음을 그렇게 찾아가라는 뜻이다.
2. 견적(見跡) - 소는 못 보고 소의 발자취만 발견한다.
소 발자국을 발견한 순간을 묘사한 것이다.
본성의 자취를 어렴풋이나마 느끼게 됨을 상징한다.
3. 견우(見牛) - 소를 발견한다.
동자승이 멀리 있는 소를 발견하는 장면이다.
이는 본성을 찾는 순간이 멀지 않았음을 뜻한다.
4. 득우(得牛) - 야생의 소를 잡는다.
이때의 소의 모습은 검은색으로 표현한다.
아직 삼독에 물들어 있는 거친 본성을 지니고 있다는 뜻에서
검게 표현한다.
발견한 소를 붙잡아서 고삐를 매는 장면이다.
'견성'(見性) 즉, 모든 망념과 미혹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성품을 깨닫는다는 의미이다.
5. 목우(牧牛) - 소를 길들인다.
고삐는 맸지만 아직 거친 소를 교육시키는 장면이다.
이는 본성을 깨달은 후에 그 깨달음을 더욱 갈고 닦는 과정이다.
삼독의 때를 지운 보임(保任) 단계이다.
선에서는 이 단계를 가장 중요시 하고 있다.
한번에 유순하게 길들여야지 만약 이때
소가 달아나면 그 소를 다시 찾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6. 기우귀가(騎牛歸家) - 자기의 본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동자승이 소를 자유자재로 다스려 소를 타고 피리를 불며
집으로 돌아가는 장면이다.
깨달음의 수준이 어떤 장애도 받지 않는 무애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장면이다.
7. 망우존인(忘牛存人) - 이제 소는 달아날 염려가 없으므로
소 같은 것은 모두 잊어버리고 안심한다.
집에 돌아와 보니 소는 어디론가 가고 없고
자신만 남아있는 모습이다.
소는 심원(心源)에 도달하기 위한 방편이었으므로
고향에 돌아와서는 방편을 잊어야 한다.
8. 인우구망(人牛俱亡) - 다시 사람도 소도 모두 본래 공(空)임을 깨닫는다.
소도, 동자승도 없이 텅 빈 원상(圓相)만 남아있는 장면이다.
고향집에 돌아와 열심히 살다보면 소도 잊고 자신도 잊게 된다.
이 장면은 완전한 경지에 이르렀음을 상징한다.
9. 반본환원(返本還源) - 꽃은 붉고 버들은 푸른 것처럼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깨닫는다.
우주의 본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게된
지혜의 경지에 이름을 뜻한다.
보이는 것은 다 밝음이요 긍정이요 극락이다.
거기서 만족하고 안주하게 되면 소승이 되는 것이다.
10. 입전수수(入廛垂手) - 중생구제를 위해 거리로 나선다.
불교의 궁극적인 뜻이 중생제도에 있음을 상징한다.
요즘으로 말하면 교화하고, 포교하고, 복지를 베풀고 사람을 만나라는 뜻이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기 2557년 부처님 오신날 준비 (0) 2013.05.16 제등행렬 - 마야부인과 동자승 (0) 2013.05.14 제등행렬 (0) 2013.05.13 연등 만들기 (0) 2013.04.25 발원기도 (0) 201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