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방/전라도

군산 근대화 거리의 군산 근대역사 박물관

꽃돼지. 2023. 12. 1. 14:00

군산 근대화 거리의 군산 근대역사 박물관

  

2023.   12.   1. 

 

 

2023.  11.  27~29 (2박 3일).  포항농협 농가주부 회장단들과  함께한 서해안 여행으로 서해안 지역  둘러 보는  여행길이다...

11.  27.   1일 일정은 군산 선유도 남도밥상 박대정식으로 점심식사 후 선유도 자유여행이고  군산으로 이동하여 군산  근대화 거리 &  월명공원 산책 후 저녁은 맛있는 군산 한소끔 에서 전복 해물찜을 식사 후 군산 라마다 호텔에서 쉬는 일정이고

 

11.  27일   두번째 여행지  선유도 자유여행과 신지도 휴게소를 잠시들러 보고  군산으로 이동 후 군산 근대화 거리를 두루 들러보는데   구 군산세관 - 군산근대역사 박물관 - 군산 진포해양공원 -  군산근대 건축관 (구.조선은행 군산지점 )- 군산 근대미술관 순으로 돌아볼 예정이다.

 

 주차장은 근대역사박물관 오른편에 있는 무료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이곳에 주차하면 박물관부터 미술관, 위봉함까지 도보로 모두 이동이 가능 ~

 

군산 근대화거리 옛군산세관 호남관세박물관에서 관람 잘했다.    그리고 네번째 다음 여행지 군산 근대역사 박물관으로 향해본다...

 

 

 

 

 

 

군산근대역사 박물관(구. 조선은행 군산지점 건물)

하절기(3 ~ 10월) 09:00 ~ 18:00 (입장종료시간 : 17:30 )  동절기(11월 ~ 이듬해 2월) 09:00 ~ 17:00 (입장종료시간 : 16:30 )

휴관일 : 1월 1일,매주 월요일, 시장이 휴관일로 정한 날

 

 

 

 

 

 

 

박물관은 총 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1층에는  해양물류역사관과 어린이 체험관, 기증자 전시실,

2층에는  독립 영웅관, 시민열린 갤러리,

3층에는  근대생활관, 기획전시실이 있다.

 

 

 

 

 

 

 

먼저 1층 로비에는 어청도 등대가 있다.

어청도 등대는 군산항과 우리나라의 서해안 남북항로를 통항하는 모든 선박들이 이용하는 중요한 등대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 의해 건설된 등대로 박물관의 포토 스팟이기도 하다.

 

 

 

 

제일 먼저 둘러본 곳은 해양 물류역사관이다.

국제 무역항이었던 군산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전시관이었다.

 

 

 

 

전북지역의 유적들은 대부분 금강이나 섬진강 등 강가에서 발견된다.

금강하구에서 출토된 구석기 유물들도 전시되어 있어 관람할 수 있었는데 주먹도끼, 몸돌 등 다양한 구석기 시대의 유적들이 있다.

 

 

 

 

신석기시대의 유적들도 발견되었는데 비응도 조개무지에서 토기류와 함께 두개골이 없는 인골 6기가 수습되었다.

빗살무늬토기는 군산 가도와 노래섬 조개무지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빗살무늬 토기

 

 

 

 

우리나라의 청동기시대는 기원전 1천년 경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군산의 청동기는 고인돌과 돌널무덤, 독무덤 등 다양한 무덤이 등장하는 것이 문화적 특징이라고 한다.

 

 

 

 

군산의 선유도는 금강과 만경강,   동진강 물줄기가 한 곳에 모이는 위치여서 국제 해상교통의 중심역할을 했다.

백제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중국왕조들과 교류를 했던 곳이 바로 선유도이다.

 

 

 

 

국제 무역항이었던 군산의 과거와 함께 전시되어 있었던 조운선 조형물이다.​

조운선은 고려와 조선시대 때 백성들에게 거둔 세금을 도성으로 운반하는 운송선을 뜻한다.    조운선의 원형에 가깝게 1/3으로 축소하여 작게 제작하였다고 한다.

 

 

 

 

2층 로비에는 만세 운동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소품들이 있었다.  직접 옷을 입어보고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 스팟이다.

 

 

 

 

그 맞은편에는 독립영웅관이 있는데 군산의 독립 운동가들을 소개하고 자랑스러운 독립운동가분들을 기리는 공간이기도 하다.

 

 

 

 

호남 최초의 만세운동은 군산이었다고 한다.

당시 군산은 3월에서 5월까지 시위 28회,  참여 인원 3만명 이상,  많은 희생을 치르며 전북지역에서 가장 강한 저항운동이었다고 한다.

 

 

 

 

왼쪽부터 애국지사이신 강문주 선생님의 독립정신이라는 책 유품,   양일동 선생님의 안경과 지갑,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에 사용된 권총이다.

 

 

 

 

박물관 3층에서는 1930년의 9월 군산의 거리를 만날 수 있다.

일제의 강압적인 통제 속에서도 치열한 삶을 살았던 군산 사람들의 실제 삶을 재현한 공간으로 군산에 존재했던 14채의 건물들을 재현하여 체험이나 전시공간으로 운영하고 있다.

드라마 세트장에 들어온 듯 1930년대의 군산의 거리가 그대로 재현되어 있었다.

 

 

 

 

홍풍행 잡화점으로 없는 게 없는 잡화점이었다.  소품들까지 옛 분위기를 가득 풍기고 있어 구경하는데 시간가는 줄 몰랐다.

 

 

 

 

안에 들어가 볼 수도 있고 소품 하나하나 그때 그 시절을 상상해볼 수 있었다.   

 

 

 

 

여기는 부모님하고 와도 좋아하실 것 같고 아이들과 함께 와도 추억의 공간이 될 것 같다.

 

 

 

 

 

 

 

 

 

 

인력거가 있는 곳에서는 체험 의상을 직접 입어보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

 

 

 

 

 

 

 

학교 같은 이 곳은 미곡취인소라고 하는데 속칭 미두장으로 미곡의 가격을 결정하는  건물로 학교 교실처럼 의자가 있고 칠판에 쌀의 시세변화를 매순간 적었다고 한다.

 

 

 

 

지게체험 등 포토 타임을 가질 수 있는 포토 스팟이다.

 

 

 

 

대야사진관에서는 그 때 그 시절의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볼 수 있다.

배경을 선택할 수 있어 좋은 추억이 될 것 같은데 사진은 출력되지 않고 핸드폰으로 찍어서 남겨야 한다.

 

 

 

 

야외전시관이다.

 

 

 

 

 

 

 

 

 

 

 

 

 

군산근대역사 박물관 바로 옆에는 미즈카페가 있다...

 

 

 

 

 

 

 

 

 

 

 

군산근대역사 박물관 바로 옆 미즈카페와 마주보는 자미겔러리

 

 

 

 

 

 

 

 

 

 

 

 

 

 

 

 

 

 

 

 

 

 

 

 

 

 

 

 

 

 

 

 

 

 

 

 

 

 

 

군산 근대화거리  군산 근대역사 박물관을 관람 잘했다.    그리고 다섯 번째로  다음 여행지 군산 진포해양공원으로 향해본다...

.

.

.

.